[컴퓨터 네트워크] 9. 전송계층 TCP 프로토콜
1. 인터넷 전송계층
• 송수신 단말의 프로세스 간 데이터 전송 방법을 규정
• 연결형 전송: 신뢰성 있고 대량 데이터 전송 (오류 제어, 흐름 제어 포함)
• 비연결형 전송: 빠른 전송, 신뢰성 없음 (오류 제어, 흐름 제어 없음)
1) 기능
• 오류 제어: 데이터 재전송, 오류 검출 및 수정
• 흐름 제어: 송수신 속도 조절 (Stop and Wait, 슬라이딩 윈도우)
• 대량 메시지 전송: 분할 및 병합
• 소량 메시지 전송: 다중화 및 역다중화
• 전송 포트 주소: 특정 서비스 식별 (0~65535 범위)
2) 서비스
• 연결 지향형 서비스 (TCP): 신뢰성 있는 대량 데이터 전송 (웹, 메일, FTP 등)
• 비연결 지향형 서비스 (UDP): 빠른 전송, 소량 데이터 전송 (DNS, SNMP 등)
3) 소켓
• 소켓 구성: IP 주소 + 전송계층 프로토콜 + 포트 번호
• 예: http://www.example.com:80
2. TCP 프로토콜
•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제공
• 기능: 오류 제어, 흐름 제어, 혼잡 제어 수행
• 데이터 단위: 세그먼트
1) TCP 헤더 주요 필드
• 포트 번호: 송수신 프로세스 식별
• 순서 번호 & 확인 응답 번호: 데이터 정렬 및 응답
• 플래그 비트: SYN(연결), ACK(응답), FIN(해제) 등
• 윈도우 크기: 흐름 제어
• 체크섬: 오류 검출
2) TCP 동작 구조
TCP 소켓 동작
• 소켓 구성: IP 주소 + 프로토콜 + 포트 번호
TCP 연결 설정 (3-Way Handshake)
• 클라이언트 → 서버: SYN
• 서버 → 클라이언트: SYN + ACK
• 클라이언트 → 서버: ACK
TCP 연결 해제 (4-Way Handshake)
• 클라이언트 → 서버: FIN
• 서버 → 클라이언트: ACK
• 서버 → 클라이언트: FIN
• 클라이언트 → 서버: ACK
TCP 데이터 전송
• 정상 전송: 수신 후 ACK(마지막 수신 번호 +1) 전송
• 오류 발생 시: 재전송 수행
TCP 타이머
• 재전송 타이머: 일정 시간 내 응답 없을 시 재전송
• 영속 타이머: 윈도우 크기 조정
• 시간 대기 타이머: 연결 종료 후 일정 시간 유지
• 생존 타이머: 장시간 비활성 상태 방지
이 내용은 휴넷사회복지평생교육원의 컴퓨터 네트워크 강의를 듣고 정리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