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11. SQL 소개 (1)
1. SQL(표준 질의어)
SQL 개요
• 정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에서 데이터를 저장, 조회, 수정, 삭제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 역사: 1970년대 SEQUEL(Structured English Query Language)에서 시작 → SQL로 변경됨
사용 방식
• 대화식 SQL: 직접 질의를 작성하여 실행
• 삽입 SQL: 프로그램 코드 내에 SQL 문을 포함
2. SQL 질의문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CREATE TABLE 테이블명 (
속성_이름 데이터_타입 [NOT NULL] [DEFAULT 기본값],
PRIMARY KEY (속성),
UNIQUE (속성),
FOREIGN KEY (속성) REFERENCES 참조_테이블(속성) [ON DELETE 옵션] [ON UPDATE 옵션],
CONSTRAINT 제약조건명 CHECK(조건)
);
속성 정의
• NOT NULL: NULL 값 허용 안 함
• DEFAULT: 기본값 설정
키(KEY) 정의
• PRIMARY KEY: 기본키 (NULL 불가, 유일한 값 유지)
• UNIQUE: 대체키 (NULL 허용, 값 중복 불가)
• FOREIGN KEY: 외래키 (참조 테이블의 특정 속성을 참조)
- ON DELETE CASCADE: 부모 데이터 삭제 시 자식 데이터도 삭제
- ON DELETE SET NULL: 부모 데이터 삭제 시 외래키 값을 NULL로 변경
- ON DELETE NO ACTION: 부모 데이터 삭제 방지
무결성 제약조건 (CHECK)
CHECK(생산량 >= 0 AND 생산량 <= 10000)
CONSTRAINT CHK_CPY CHECK(제조업체 = 'SQL제과')
3. 데이터 정의어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구조 정의 및 수정 명령어
• 주요 명령어: CREATE, ALTER, DROP
CREATE
• 데이터베이스 객체(테이블, 뷰, 인덱스 등) 생성
• PRIMARY KEY, FOREIGN KEY, ON DELETE, ON UPDATE 설정 가능
ALTER
• 테이블 구조 변경
- 열 추가, 삭제, 속성 변경
- 제약조건 추가/제거
- 테이블 이름 변경
DROP
• 테이블, 인덱스, 뷰 등 삭제
이 내용은 휴넷사회복지평생교육원의 데이터베이스 강의를 듣고 정리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