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억장치의 특성
1) 기억장치란?
•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장치
2) 기억장치 분류
• 주기억 장치: CPU와 온라인 연결
• 보조기억 장치: CPU와 오프라인 연결, 별도의 연결 과정 필요
3) 기억장치 액세스 방법
• 순차 액세스: 처음부터 차례대로 위치 이동
• 직접 액세스: 임의의 위치로 이동
• 임의 액세스: 동일한 액세스 시간
• 연관 액세스: 테이블 구조와 키로 액세스
4) 기억장치 성능 척도
• 액세스 시간: 데이터가 읽히거나 쓰여지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
• 사이클 시간: 연속적으로 액세스할 때 소요되는 시간
• 전송률: 초당 액세스할 수 있는 데이터 양
• 대역폭: 데이터 전송 범위
5) 전송률 예시
• 사이클 시간이 800ns/byte이면 전송률은 80MB/sec (640Mbits/sec)
2. 기억장치의 용량 및 전송 단위
1) 기억장치 용량
•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 (보통 바이트 단위)
2) 컴퓨터 저장 단위
• bit, byte, kilobyte (KB), megabyte (MB), gigabyte (GB), terabyte (TB), petabyte (PB), exabyte (EB), zettabyte (ZB), yottabyte (YB)
3) 국제 단위 시스템 접두어 및 값
• 킬로(k) = 10³, 메가(m) = 10⁶, 기가(g) = 10⁹, 테라(t) = 10¹², 페타(p) = 10¹⁵, 엑사(e) = 10¹⁸, 제타(z) = 10²¹, 요타(y) = 10²⁴
4)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 주기억장치: 비트 단위로 구성, 빠른 속도
• 보조기억장치: 바이트 단위로 구성, 상대적으로 느림
5) 속도 비교
• 주기억장치 (RAM): 매우 빠름
• 보조기억장치 (HDD): 매우 느림
6) 전송 속도
• bps: 초당 비트 전송 속도
• B/s: 초당 바이트 전송 속도
• MB/s: 주로 저장장치의 전송 속도를 나타냄
3. 반도체 기억장치
1) 반도체 기억장치 이해
• 반도체 기술로 주기억장치가 주류를 이루며, SRAM과 DRAM이 대표적
2) 반도체 기억장치의 분류
• RAM: 휘발성, SRAM (빠름), DRAM (느림)
• ROM: 비휘발성, Mask ROM, PROM, EPROM, EEPROM, Flash Memory
3) 반도체 기억장치별 특징
• Mask ROM: 변경 불가능
• PROM: 한 번만 수정 가능
• EPROM: 자외선으로 데이터 삭제 가능
• EEPROM: 전기적으로 데이터 삭제 가능
• Flash Memory: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터 삭제와 기록 가능
이 내용은 휴넷사회복지평생교육원의 컴퓨터 구조 강의를 듣고 정리한 것입니다.
'CS > 컴퓨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구조] 19. 입출력장치 (1) (0) | 2025.06.19 |
---|---|
[컴퓨터 구조] 18. 기억장치 (2) (0) | 2025.05.16 |
[컴퓨터 구조] 16. 제어장치 (2) (0) | 2025.05.03 |
[컴퓨터 구조] 15. 제어장치 (1) (1) | 2025.05.02 |
[컴퓨터구조] 14. 중앙처리장치 (5)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