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컴퓨터 네트워크

1. 웹 서비스 프로토콜1) HTTP 개요• 웹 서버와 브라우저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응용 계층 프로토콜• 초기에는 하이퍼텍스트 전송에 사용, 현재는 멀티미디어 전송 가능• TCP 포트 80번 사용• 보안 지원: Basic 인증, Digest 인증, HTTPS(SSL 보안)• 중계 방식: 프록시(동일 프로토콜), 게이트웨이(다른 프로토콜 연결) 2) HTTP 메시지HTTP 동작 구조① 클라이언트가 URL 입력 후 요청 → ② 서버의 HTTP 데몬과 연결 → ③ HTML 문서 전송 → ④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 표시 요청 메시지• 메소드(GET, POST, PUT 등), URL, 프로토콜 버전 포함 응답 메시지• HTTP 버전, 상태 코드(200 OK, 404 Not Found 등) 포함 헤더 종류• 요청..
1. 인터넷 주소 변환 필요성1) 인터넷에 사용되는 주소• 데이터링크 계층: MAC 주소 (48비트 물리적 주소)• 인터넷 계층: IP 주소 (32비트 또는 128비트 논리적 주소)• 전송 계층: 전송 포트 (16비트 응용 프로세스)• 응용 계층: URL 도메인 명 (예: www.aaa.com) 2) 인터넷 주소 변환 필요성• IP 주소(32비트 또는 128비트)는 10진수 또는 헥사 코드로 표현되어 사람이 기억하기 어려움.• 도메인 명을 문자로 입력하는 것이 사용자가 익숙함.• 수많은 인터넷 사이트의 IP 주소를 외우는 것은 불가능.• 전화의 114 서비스처럼 도메인과 IP 주소를 연결하는 DNS 시스템이 필요.• DNS 시스템: 문자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 3) 인터넷에서 설정되어야 ..
1. 전송계층 UDP 프로토콜UDP 개요• 비연결형 전송 방식으로 오류 제어 및 흐름 제어가 없어 신뢰성이 낮음• 데이터그램을 방송 형태로 전송하며 순서 보장 및 확인 응답 없음• 빠른 요청 및 응답이 가능하고, 멀티캐스팅을 지원• 주요 응용: TFTP(69), SNMP(161), DNS(53) 등 UDP 데이터 처리• 캡슐화: 송신 측에서 데이터에 헤더 추가• 디캡슐화: 수신 측에서 헤더 제거 UDP 헤더 구조• 기본 헤더 크기는 8Byte• 송신 및 수신 포트는 16비트로 구성됨• 체크섬 값이 0이면 수신 측에서 체크섬 검사를 수행하지 않음 UDP 데이터 다중화 및 역다중화• 송신 측: 여러 프로세스 데이터를 하나로 합쳐 전송• 수신 측: 수신한 데이터를 프로세스 포트별로 분리 UDP 응용 프로토콜•..
1. 인터넷 전송계층• 송수신 단말의 프로세스 간 데이터 전송 방법을 규정• 연결형 전송: 신뢰성 있고 대량 데이터 전송 (오류 제어, 흐름 제어 포함)• 비연결형 전송: 빠른 전송, 신뢰성 없음 (오류 제어, 흐름 제어 없음) 1) 기능• 오류 제어: 데이터 재전송, 오류 검출 및 수정• 흐름 제어: 송수신 속도 조절 (Stop and Wait, 슬라이딩 윈도우)• 대량 메시지 전송: 분할 및 병합• 소량 메시지 전송: 다중화 및 역다중화• 전송 포트 주소: 특정 서비스 식별 (0~65535 범위) 2) 서비스• 연결 지향형 서비스 (TCP): 신뢰성 있는 대량 데이터 전송 (웹, 메일, FTP 등)• 비연결 지향형 서비스 (UDP): 빠른 전송, 소량 데이터 전송 (DNS, SNMP 등) 3) 소켓•..
1. 인터넷 라우팅 개념1) 인터넷 라우팅 개요• 인터넷 라우팅은 네트워크에서 목적지 IP 주소를 기반으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입니다. 최적 경로를 설정하는 기준• 링크 대역폭이 큰 경로• 거치는 장비 수가 최소인 경로• 오류가 없는 경로• 전송 지연이 적은 경로 2) 최적 라우팅을 위한 경로 설정 요소• 홉 카운트(Hop count): 최소한의 장비를 거치는 경로• 링크 상태(Link state): 대역폭이 가장 넓은 경로• 최대 전달 용량(Maximum Transfer Unit, MTU): 데이터 용량이 최대인 경로• 대역폭(Bandwidth), 지연(Delay): 전송 속도가 가장 빠른 경로• 신뢰성(Reliability): 오류가 가장 적은 경로 3) 최적 경로 설정을 위한 동적 프로토콜•..
1. ICMP 프로토콜1) 필요성• IP 프로토콜은 비연결형으로 오류 제어 기능이 없음.• 호스트와 관리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ICMP 프로토콜이 필요.• 주요 기능: 오류 보고, 네트워크 진단, 이웃 탐색. 2) 계층 구조• 인터넷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직접 데이터를 받지 않으며, IP 프로토콜(프로토콜 1번)의 지원을 받음.• ICMP 메시지는 IP 데이터그램의 SDU 부분으로 전달됨. 3) ICMPv4 패킷 포맷• IP 패킷 헤더의 프로토콜 필드가 "1"이면 ICMP.• ICMP 헤더는 8바이트 구성.- Type: ICMP 메시지 종류.- Code: 메시지 타입에 따라 세분화.- Checksum: 오류 검출을 위한 체크섬 값.- Rest of header: 메시지 타입에 따른 ..
1. 인터넷 IPv6 주소 특징1) 인터넷 IPv6 주소 등장• IPv4 주소의 부족으로 인해 IPv6 주소 체계가 등장하게 되었다. IPv4의 문제점• 32비트 주소 체계로 약 43억 개의 IP만 제공되어 개수 부족• 클래스별 주소 분류로 인해 비효율적인 주소 할당• 국가별 IP 주소 개수 불균형• NAT, DHCP 등의 방법으로도 주소 부족 문제 해결에 한계• 보안 기능이 옵션으로 제공되어 취약• 패킷 품질 보장 기능 미비• 임베디드 모바일 시스템에서 설정 어려움 2) 인터넷 IPv6 주소 개요• 총 128비트로 구성되어 방대한 개수의 주소 제공• 16비트씩 8개 블록으로 나누고 콜론(:)으로 구분• 각 16비트는 4자리의 헥사코드(Hexadecimal)로 표현 (예: 200a:1300:abcd:00..
1. 인터넷 주소 기능1) 인터넷 주소 개요• 인터넷 주소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각 시스템을 인식하는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예로 전화번호, 스마트폰 번호, 인터넷 주소 등이 있습니다.•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비는 고유한 번호를 가지며, 이를 통해 장비를 식별하고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주소의 종류• IP 주소: 네트워크 상에서 장치를 식별하는 주소• MAC 주소: 네트워크 카드에 할당된 고유한 물리적 주소• URL 주소: 특정 웹사이트나 서비스를 가리키는 주소 • 네트워크에서는 수신 측 주소를 기반으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며, 주소를 이용해 데이터의 접속을 제어하고 보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송신 또는 수신 주소에 대한 접속을 허가하거나 제한하는 기능이..
JIN-JJS
'CS/컴퓨터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