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터넷 주소 변환 필요성
1) 인터넷에 사용되는 주소
• 데이터링크 계층: MAC 주소 (48비트 물리적 주소)
• 인터넷 계층: IP 주소 (32비트 또는 128비트 논리적 주소)
• 전송 계층: 전송 포트 (16비트 응용 프로세스)
• 응용 계층: URL 도메인 명 (예: www.aaa.com)
2) 인터넷 주소 변환 필요성
• IP 주소(32비트 또는 128비트)는 10진수 또는 헥사 코드로 표현되어 사람이 기억하기 어려움.
• 도메인 명을 문자로 입력하는 것이 사용자가 익숙함.
• 수많은 인터넷 사이트의 IP 주소를 외우는 것은 불가능.
• 전화의 114 서비스처럼 도메인과 IP 주소를 연결하는 DNS 시스템이 필요.
• DNS 시스템: 문자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
3) 인터넷에서 설정되어야 하는 주소
• MAC 주소, DNS 주소, IP 주소, G/W 주소, 포트 번호 설정 필요.
4) PC의 인터넷 주소 설정
고정 IP 주소 설정
• MAC 주소는 자동 설정, IP 주소, 마스크값, DNS, G/W는 수동 설정.
• 설정 방법: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속성 → 편집
유동 IP 주소 설정
• 설정 방법: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속성 → 편집(자동 DHCP 선택)
• DHCP 서버에서 IP, DNS, G/W, 마스크 값을 자동 할당.
5) 인터넷 주소 변환 기능
• DNS: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
• ARP: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
• RARP: MAC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
• BOOTP: RARP 기능에 G/W, DNS, 마스크 값 추가.
• DHCP: 유동 IP 환경에서 IP, G/W, DNS, 마스크 값을 자동 할당.
2. 인터넷 DNS 프로토콜
1. 인터넷 DNS 프로토콜 개요
• 인터넷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
• 전송계층의 TCP, UDP(포트 53) 지원.
2. 인터넷 DNS 시스템 필요성
• IP 주소는 사람이 기억하기 어려워 문자 기반 도메인 사용 필요.
• 초기 인터넷에서는 호스트 파일을 사용했으나, 확장성 문제로 DNS 시스템 도입.
3. 인터넷 DNS 시스템 특징
• 계층적 구조로 도메인 네임을 관리.
• DNS 서버에 네임 공간 정보 분산 저장.
• 주 네임 서버와 부 네임 서버가 영역을 나누어 관리.
4. 인터넷 DNS 시스템 구성
네임 서버(Name Server)
• 도메인 정보 관리, 캐시에 도메인 정보 저장.
• 주 네임 서버: 서비스 담당, 부 네임 서버: 주 서버 백업 보관.
해석기(Resolver)
• DNS 클라이언트에서 도메인의 IP 주소 요청을 처리.
네임 스페이스(Name Space)
• DNS 서버가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공간.
• 특정 도메인의 IP 주소를 검색하는 과정 포함.
DNS 리소스 레코드
• 도메인과 IP 주소 저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 질의 요청 시 해석기(Resolver)에 반환됨.
5. 인터넷 DNS 동작
• 클라이언트가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근접한 DNS 서버에 문의하여 IP 주소를 검색.
• 캐시에 정보가 없으면 상위 DNS 서버에 순차적으로 요청.
6. 인터넷 DNS 역 네임 분석
• IP 주소를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과정(In-addr.arpa 도메인 사용).
7. 인터넷 DNS 서버 캐시
• 과거 조회한 IP 주소를 캐시에 저장하여 빠른 응답 제공.
• TTL(Time To Live) 설정을 통해 저장 기간 조정.
8. 인터넷 DNS 메시지
• TCP/UDP 포트 53 사용.
• 512바이트 이하는 UDP, 초과 시 TCP 사용.
• DNS 메시지 유형: 질의(Query), 응답(Response), 영역 전달(Zone Transfer), 통지(Notification), 동적 업데이트(Dynamic Update).
9. Dynamic DNS
• DHCP 환경에서 서버 운영자가 IP 변경 사항을 DDNS 서버에 즉시 반영.
• 클라이언트가 실시간으로 최신 IP 주소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
3. 인터넷 DHCP 프로토콜
1) 인터넷 DHCP 프로토콜 개요
• 유동 IP 환경에서 자동으로 네트워크 설정을 제공하는 프로토콜.
• 자동 설정 항목: IP 주소, 마스크값, G/W 주소, DNS 주소.
2) 인터넷 DHCP 프로토콜 장단점
• 장점: 네트워크 구성 변경 용이, 자동 IP 할당, IP 절약 가능.
• 단점: 임대기간 동안 IP를 다른 호스트에 할당 불가, 호스트 수 증가 시 서버 부하 발생.
3) 인터넷 DHCP 메시지 동작
• 동일 네트워크에 없을 경우 중계 에이전트를 통해 서버 접속.
이 내용은 휴넷사회복지평생교육원의 컴퓨터 네트워크 강의를 듣고 정리한 것입니다.
'CS > 컴퓨터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네트워크] 12. 원격접속 및 파일전송 프로토콜 (0) | 2025.04.04 |
---|---|
[컴퓨터 네트워크] 10. 전송계층 UDP, SCTP 프로토콜 (0) | 2025.03.25 |
[컴퓨터 네트워크] 9. 전송계층 TCP 프로토콜 (0) | 2025.03.24 |
[컴퓨터 네트워크] 8. 인터넷 라우팅 프로토콜 (0) | 2025.03.11 |
[컴퓨터 네트워크] 7. 인터넷 계층 보조 프로토콜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