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진수, 8진수, 16진수
1) 2진수 (Binary)
• 0과 1로 구성된 진수
• 라이프니츠가 음양사상의 영향을 받아 발명
• 컴퓨터에서는 논리의 조합이 간단하고 내부 소자의 특성상 이진법이 편리하여 사용됨
2) 8진수 (Octal)
• 2진수에서 연속되는 3자리를 묶어서 표현
3) 16진수 (Hexadecimal)
• 2진수의 4자리를 묶어서 표현
2. 진법 변환
1) 진법의 개념
• 진법: 수를 표기하는 기수법의 하나로 몇 개의 기본 숫자를 이용하여 수를 표시하는 방법
• 진법 변환: 숫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가중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각 진법으로 변환하는 과정
2) 진법 변환 (정수 부분)
• 10진수를 X진수로 변환하는 방법
3) 진법 변환 (소수 부분)
• X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는 방법
• 2진수를 8진수, 16진수로 변환하는 방법
3. 부호표시수의 연산
1) 보수 (Complement)
• 보충을 해주는 수를 의미
2) 보수의 종류
• r²의 보수
• r²-1의 보수
3) 컴퓨터에서 보수가 필요한 이유
• 컴퓨터에는 뺄셈을 위한 감산기가 존재하지 않음
이 내용은 휴넷사회복지평생교육원의 컴퓨터 구조 강의를 듣고 정리한 것입니다.
'CS > 컴퓨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구조] 6. 디지털 논리 (2) (0) | 2025.03.03 |
---|---|
[컴퓨터 구조] 5. 디지털 논리 (1) (1) | 2025.03.02 |
[컴퓨터 구조] 3. 수와 체계와 코드 (0) | 2025.02.28 |
[컴퓨터 구조] 2. 컴퓨터의 주요장치 (0) | 2025.02.27 |
[컴퓨터 구조] 1. 컴퓨터 구조 (0) | 2025.02.26 |